모원씽크_감자 비유로 풀어보는 AI 산업 생태계

내 AI 그림은 어디에서 왔을까?

‘나도 해보는 생성형AI 이미지 만들기’는 AI 산업 생태계를 이해하는 것이 생성형 AI를 활용한 이미지 제작 과정을 배우는 것의 한 단면을 경험하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현재 AI 산업은 발전 사이클의 도입기와 성장기 사이에 있으며, 문서 작업에 특정 도구를 사용하는 것처럼 확고한 주류 도구가 정립되기 이전의 다양성과 가능성이 공존하는 시기입니다.

0515_01.jpg

김경달 작가는 AI 산업 생태계를 이해하기 쉽게 감자 산업에 비유하여 설명합니다.

  1. 1차 산업 (핵심 AI 모델 개발 기업): 농지에 직접 방문하여 감자를 구매하는 과정에 비유됩니다. 핵심 AI 모델 개발 기업들은 자신들이 개발한 AI의 성능을 검증하고 피드백을 얻기 위해 OpenAI의 ChatGPT나 Google의 Gemini와 같이 AI 서비스 형태로 최종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하기도 합니다. 이들은 AI 모델이라는 ‘원재료’를 생산하고, 품질을 선보이기 위해 직접 ‘요리’를 제공하는 것과 같습니다.
  2. 2차 산업 (AI 모델 기반 서비스 및 솔루션 개발 기업): 감자를 활용하여 감자칩이나 음료를 제조하는 공장에 비유됩니다. 이 기업들은 핵심 AI 모델 개발 기업의 AI 모델(원재료)을 기반으로, 특정 목적이나 사용 사례에 맞춰 더욱 전문화되고 다양한 기능을 갖춘 AI 서비스 및 솔루션을 개발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산업의 데이터 분석 AI 도구, 마케팅 콘텐츠 제작 AI 서비스, 교육 분야 AI 튜터 등이 여기에 해당하며, 1차 산업의 ‘원재료’를 가져와 혁신적인 ‘제품’을 만들어냅니다.
  3. 3차 산업 (최종 사용자에게 다양한 AI 서비스 제공): 감자칩이나 음료를 소비자에게 판매하고 홍보하는 마트나 온라인 쇼핑몰과 같은 서비스 산업에 비유됩니다. 이들은 다양한 AI 서비스와 솔루션을 최종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AI 서비스를 찾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현재 우리가 경험하는 다양한 생성형 AI 이미지 제작 플랫폼이나 텍스트 생성 서비스 등이 넓게 보면 이 3차 산업에 속합니다. 이들은 AI 기술이라는 ‘제품’을 다양한 방식으로 포장하고,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EC%8A%AC%EB%9D%BC%EC%9D%B4%EB%93%9C7.PNG

생성형 AI 이미지 만들기라는 맥락에서 볼 때,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현재의 생성형 AI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얻고, AI를 활용한 이미지 제작의 즐거움을 경험하며, 나아가 여러분의 삶 속으로 AI를 적극적으로 초대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미지 생성 AI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텍스트 설명이나 기존 이미지를 기반으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AI 그림은 개인의 취미 활동을 넘어 창업 아이디어 시각화, 마케팅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줍니다.

우리가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를 경험하는 것은 AI 산업 생태계 전체에 걸쳐 다채로운 플레이어들이 존재하고 각자의 영역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재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이 넓고 다양한 AI 서비스 생태계 속에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생성형 AI 서비스를 찾아내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라고 도서에서 김경달 작가는 강조합니다. 이는 마치 다양한 종류의 감자 요리 중에서 자신의 입맛에 맞는 요리를 찾아 즐기는 것과 유사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AI 그림 그리기를 시작하기 전에 플랫폼 선택 시 사용 편의성, 생성 이미지 품질, 제공 기능, 접근성(계정 연동), 저작권 문제 등을 고려하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중요합니다.

도서의 내용이 궁금하다면 구글도서, 교보문고, 예스24, 밀리의 서재에서 ‘모원씽크’를 검색하세요.

Banner_01.png